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발생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일어났다. 우한 수산물 시장에서 판매된 박쥐를 사람이 먹어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는데 감염된 환자의 수는 점점 늘어나고 있고 그에 따른 사망자도 증가 하고 있다. 우한시의 인구는 약1100만명으로 전염병이 발생되어 시민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또 그에 따른 감염이 일어나고 있다. 예전에도 박쥐에 의한 감염병이 생겨서 큰 영향을 미쳤다.
박쥐는 2003년 관박쥐가 사스, 2014년 에볼라는 과일박쥐라고 불리는 큰박쥐류, 2012~2015년 메르스는 이집트무덤박쥐가 주요 감염원으로 인간이 감염되었다. 한국에서도 박쥐가 서식하는데 가끔씩 방충망에 붙어 있는 것을 보면 만지면 안된다. 눈에 보이는 기생충과 전염병이 있기 때문에 119를 불러야 한다.
박쥐를 생각하면 어두운 동굴에서 집단생활을하는 동물로 생각한다.집단 생활을 하면 병에 걸리기 쉬운데 왜안걸리는것인가.
다른 포유류들은 질병에 걸리면 몸의 온도를 높혀 바이러스의 활동을 못하게 한다. 반면에 박쥐는 높은곳에서 비행을 할때 체온이 40도까지 올라가고 독특한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어 바이러스가 높은 온도에서도 적응하도록 진화되었다. 박쥐의 종류는 약1000종류가 넘어 다양한 질병과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생존하기가 쉽다. 박쥐는 종류만큼 인수공통바이러스가 156종으로 많다.
박쥐는 인간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박쥐을 먹을때 잘못된 식습관과 덜 익혀 먹어서 감염이 된것이다. 하지만 바이러스가 많은만큼 먹지 않는것이 좋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각막으로 인한 감염도 되기때문에 마스크를 해야한다.
동굴에 들어가면 박쥐의 배설물이 쌓여 공기중으로 히스토플라즈마에 감염이 되어 폐에 치명적으로 마스크를 꼭 해야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