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시4 노안의대표적인 질환:100세 시대 눈건강지키기 100세 시대 과거에는 접하기 어려웠던 정보들이 시대가 발전되어 쉽게 접할수 있어 인터넷이나 TV로 건강관리정보, 영양제, 건강식품을 알수 있다. 예로는 숨쉬기 힘들고 몸에 치명적으로 해로운 미세먼지 농도를 핸드폰으로 검색만 해도 알 수 있다.이로인해 일회용 의약외품 마스크를 대중교통에 보급 함으로써 공중 보건 의식의 수준이 많이 높아졌다. 또한 의료기술들이 발전으로 인간의 기대수명은 길어졌다. 인간의 수명이 100세 시대로 늘어난 만큼 아프지 않고 오래 살기 위해서는 건강이 최우선이다. 노안 요즘시대에는 건강관리로 신체나이를 실제나이보다 젊어지게 할 수 있다. 하지만 눈이 늙는 속도는 빨라져 근시의 비율이 많아지고 있다. 눈의 노화가 오는 나이는 점점 빨라져 젊은 노안이 생긴다. 눈은 가까운것을 볼때 .. 2019. 12. 23. 핀홀(pinhole)효과:눈 찡그림 모니터를 많이 보는 사무직 직장인이나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여 시력이 많이 안좋아 지는 사람이 많아 지고 있습니다. 자연스럽게 가까운것은 잘보이고 멀리 있는 것은 안보이게 되어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눈을 찡그려 보면 선명해 질것입니다. 태양과 같이 빛의 양이 많은 광원을 보면 빛이 번져 보이고,빛의 양을 제한하면 그나마 볼수 있습니다. 우리의 눈은 빛이 각막,수정체를 통과해 망막에 하나의 점으로 맺혀야 선명하게 보이는데 빛의 양이 많아지면 하나의 점으로 안맺칩니다. 사진출처: https://timroot.com/what-is-pinholing-a-patient/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빛의 양을 제한하여 빛이 하나의 구멍으로 통과해 하나의 점으로 맺히게 되는 것을 핀홀 효과라고 합니다. 핀홀은 작은 구멍으.. 2019. 11. 19. 근시질환:망막박리,망막열공,비문증,광시증 우리나라는 학업때문에 오래동안 치열하게 의자에 앉아서 문제를 풀거나 독서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습관때문에 근시가 됩니다. 요즘 현대인들이 스마트폰과 모니터를 많이 접하게 되어 눈이 피로 하고 수면부족으로 시력 저하가 가속하가 되어 근시가 많아 지고 있습니다. 평생사용하는 우리의 눈은 질환이 생기거나 시력이 저하되면 회복하기 어려우므로 건강관리가 필요합니다. 망막은 눈의 안쪽을 덮고 있고 빛에 대한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여 시야와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조직입니다. 근시는 먼곳을 볼때 물체의 상이 망막의 앞쪽에 맺히는 굴절이상상태,먼곳은 흐리게 보이고 가까운곳은 선명하게 보이는 상태입니다. 정상인의 눈은 0D, 근시는 마이너스(-)D, 원시는 플러스(+)D로 교정을 해줍니다. D는 교정렌즈의 도.. 2019. 11. 19. 내 시력은 마이너스 플러스 / 근시,원시,난시 시력검사를 하러 안경원 또는 안과에 가서 측정합니다. 시력표에는 0.1~1.0시표 까지 있어 자신이 어디까지 보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한국 기준 5미터 거리에서 시력검사시 정시(정상시력)는 시력 1.0에 기준으로 1.0미만이면 근시,이상이면 원시,가로 또는 세로가 길거나 번져보이면 난시로 처방전에 맞는 값을 써서줍니다 처방전에 보면 -,+ 라고 쓰여있어 많은 사람들이 나의 시력은 "마이너스" , "플러스" 라고 알고 있습니다. 정확한 뜻은 안경렌즈의 도수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사람은 근시가 많아서 마이너스(-)라고 주로 이야기합니다. 근시는 무엇일까요? 눈에 맺히는곳이 망막보다 앞에 맺히는 눈입니다. 근시는 가까운것이 잘보이고 멀리있는것은 흐리게 보입니다.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게 되어 흐리게 보이.. 2019. 10.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