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눈건강

내 시력은 마이너스 플러스 / 근시,원시,난시

by 육만천원 2019. 10. 28.
시력검사를 하러 안경원 또는 안과에 가서 측정합니다.

시력표에는 0.1~1.0시표 까지 있어 자신이 어디까지 보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한국 기준 5미터 거리에서 시력검사시 정시(정상시력)는 시력 1.0에 기준으로 1.0미만이면 근시,이상이면 원시,가로 또는 세로가 길거나 번져보이면 난시로 처방전에 맞는 값을 써서줍니다


처방전에 보면 -,+ 라고 쓰여있어 많은 사람들이 나의 시력은 "마이너스" , "플러스" 라고 알고 있습니다.

정확한 뜻은 안경렌즈의 도수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사람은 근시가 많아서 마이너스(-)라고 주로 이야기합니다.

근시는 무엇일까요?

눈에 맺히는곳이 망막보다 앞에 맺히는 눈입니다.
근시는 가까운것이 잘보이고 멀리있는것은 흐리게 보입니다.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게 되어 흐리게 보이는데 선명하게 보이기 위해 (-)렌즈로 교정을 합니다.

(-)렌즈는 초점을 뒤로 밀어내어 망막에 맺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렌즈는 눈과 렌즈의사이가 가까워질수록 조첨을 뒤로 보냅니다.
과한 교정시 망막뒤로 초점이 맺히게 되어 눈의 근육이 선명하게 볼려고 하여 부담이 가게 됩니다. 멀리있는것은 잘보이지만 가까이 있는것은 어지럽거나 부담이 됩니다.

과한 교정시 더 근시로 되기 때문에
과교정은 절대 안되며 낮은도수로 편한상태로 선명하게 보는게 중요합니다.

원시는 무엇일까요?

눈에 맺히는 초점이 망막보다 뒤에 맺히는 눈입니다.
원시는 멀리있는게 잘보이고 가까운것이 잘 안보여(+)렌즈로 교정합니다

초점이 눈의망막 뒤에 있어 눈의 근육에 힘을 줘서 어느정도 볼 수 있지만 부담이 되고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까운게 안보이게 됩니다.

원시는 항상 망막뒤에 초점이 맺히기 때문에 힘이들어가 있습니다
가까운것을 볼 수록 초점이 수정체로부터 멀어지게 되는데 멀어질수록 눈의 힘이 들어가게 되어 쉽게 피로하게 됩니다.

+2.00이상부터는 멀리는것과 가까운것이 잘보이지않습니다

(+)렌즈는 초점을 앞으로 당겨오기때문에 눈과 렌즈 사이가 멀어질수록 초점을 더 당겨와서 노인분들이 코끝에 달고 보는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노안

노안은 모든사람에게 오는데 근육이 약해져서 가까운것을 볼려고 하면 흐리게 보이게 되어 증상은 원시부터 나타나고 근시가 늦게 나타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