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검사를 하러 안경원 또는 안과에 가서 측정합니다.
한국 기준 5미터 거리에서 시력검사시 정시(정상시력)는 시력 1.0에 기준으로 1.0미만이면 근시,이상이면 원시,가로 또는 세로가 길거나 번져보이면 난시로 처방전에 맞는 값을 써서줍니다
정확한 뜻은 안경렌즈의 도수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사람은 근시가 많아서 마이너스(-)라고 주로 이야기합니다.
근시는 무엇일까요?
근시는 가까운것이 잘보이고 멀리있는것은 흐리게 보입니다.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게 되어 흐리게 보이는데 선명하게 보이기 위해 (-)렌즈로 교정을 합니다.
(-)렌즈는 초점을 뒤로 밀어내어 망막에 맺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렌즈는 눈과 렌즈의사이가 가까워질수록 조첨을 뒤로 보냅니다.
과한 교정시 망막뒤로 초점이 맺히게 되어 눈의 근육이 선명하게 볼려고 하여 부담이 가게 됩니다. 멀리있는것은 잘보이지만 가까이 있는것은 어지럽거나 부담이 됩니다.
과한 교정시 더 근시로 되기 때문에
과교정은 절대 안되며 낮은도수로 편한상태로 선명하게 보는게 중요합니다.
원시는 무엇일까요?
원시는 멀리있는게 잘보이고 가까운것이 잘 안보여(+)렌즈로 교정합니다
초점이 눈의망막 뒤에 있어 눈의 근육에 힘을 줘서 어느정도 볼 수 있지만 부담이 되고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까운게 안보이게 됩니다.
원시는 항상 망막뒤에 초점이 맺히기 때문에 힘이들어가 있습니다
가까운것을 볼 수록 초점이 수정체로부터 멀어지게 되는데 멀어질수록 눈의 힘이 들어가게 되어 쉽게 피로하게 됩니다.
+2.00이상부터는 멀리는것과 가까운것이 잘보이지않습니다
(+)렌즈는 초점을 앞으로 당겨오기때문에 눈과 렌즈 사이가 멀어질수록 초점을 더 당겨와서 노인분들이 코끝에 달고 보는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노안
노안은 모든사람에게 오는데 근육이 약해져서 가까운것을 볼려고 하면 흐리게 보이게 되어 증상은 원시부터 나타나고 근시가 늦게 나타납니다.
한국 기준 5미터 거리에서 시력검사시 정시(정상시력)는 시력 1.0에 기준으로 1.0미만이면 근시,이상이면 원시,가로 또는 세로가 길거나 번져보이면 난시로 처방전에 맞는 값을 써서줍니다
정확한 뜻은 안경렌즈의 도수를 의미합니다.
우리나라의 사람은 근시가 많아서 마이너스(-)라고 주로 이야기합니다.
근시는 무엇일까요?
근시는 가까운것이 잘보이고 멀리있는것은 흐리게 보입니다.
초점이 망막 앞에 맺히게 되어 흐리게 보이는데 선명하게 보이기 위해 (-)렌즈로 교정을 합니다.
(-)렌즈는 초점을 뒤로 밀어내어 망막에 맺히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렌즈는 눈과 렌즈의사이가 가까워질수록 조첨을 뒤로 보냅니다.
과한 교정시 망막뒤로 초점이 맺히게 되어 눈의 근육이 선명하게 볼려고 하여 부담이 가게 됩니다. 멀리있는것은 잘보이지만 가까이 있는것은 어지럽거나 부담이 됩니다.
과한 교정시 더 근시로 되기 때문에
과교정은 절대 안되며 낮은도수로 편한상태로 선명하게 보는게 중요합니다.
원시는 무엇일까요?
원시는 멀리있는게 잘보이고 가까운것이 잘 안보여(+)렌즈로 교정합니다
초점이 눈의망막 뒤에 있어 눈의 근육에 힘을 줘서 어느정도 볼 수 있지만 부담이 되고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가까운게 안보이게 됩니다.
원시는 항상 망막뒤에 초점이 맺히기 때문에 힘이들어가 있습니다
가까운것을 볼 수록 초점이 수정체로부터 멀어지게 되는데 멀어질수록 눈의 힘이 들어가게 되어 쉽게 피로하게 됩니다.
+2.00이상부터는 멀리는것과 가까운것이 잘보이지않습니다
(+)렌즈는 초점을 앞으로 당겨오기때문에 눈과 렌즈 사이가 멀어질수록 초점을 더 당겨와서 노인분들이 코끝에 달고 보는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노안
노안은 모든사람에게 오는데 근육이 약해져서 가까운것을 볼려고 하면 흐리게 보이게 되어 증상은 원시부터 나타나고 근시가 늦게 나타납니다.
'눈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시질환:망막박리,망막열공,비문증,광시증 (0) | 2019.11.19 |
---|---|
안구건조증:눈이 뻑뻑,이물감 (0) | 2019.11.10 |
노화 피부에 대표적인 피부질환 (0) | 2019.11.02 |
젊은 노안 (0) | 2019.10.28 |
미세먼지 마스크 KF숫자 등급 선택과 원인 (0) | 2019.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