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눈건강

안구건조증:눈이 뻑뻑,이물감

by 육만천원 2019. 11. 10.
바쁜 현대인은 스마트폰 또는 모니터 사용으로 눈이 많이 피로하게 됩니다. 우리의 눈은 한번 시력저하가 되며 회복하기 힘듭니다. 눈이 건조하게 되어 자주 나타나는 질환이 안구건조증 입니다.


우리의 눈은 눈물샘에서 적정량의 눈물이 분비하여 눈을 감았다가 뜰때 눈물이 적시게 되므로 증발을 방지합니다.


안구 건조증의 원인

1. 전자기기

현대인의 일상생활에서는 전자기기가 필수가 되었습니다. 하루종일 모니터를 보며 일하는 사무직 직종의 직장인,버스또는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스마트폰 또는 모니터를 장시간 사용시 자신도 모르게 집중하게 되여 눈을 감지 않게 됩니다. 눈을 감지않아 눈물이 적시지 않게 되어 건조하게 됩니다.


2.눈물량 부족

눈물샘에서 눈물이  분비가 충분히 되지 않아 눈물량이 부족하여 건조하게 됩니다.


3.건조

공기가 건조한 환경입니다. 흔히 바람이 부는 것은 히터, 에어컨, 선풍기, 창문열고 운전이 바람의 영향으로 건조하게 됩니다. 또한 연기가 날때, 콘택트렌즈 착용,습도가 낮은 곳에서 장시간 머무를 시 등의 상황에서도 악화됩니다.


4.미세먼지

미세먼지는 인체중에 특히 호흡계에 치명적으로 안구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눈물은 이물질 제거 역활을 하는데 눈물샘 및 배출관 막아 눈물이 분비및 배출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초미세먼지의 경우 더 크기가 작아 치명적입니다.


안구건조증 자가진단법

1.눈의통증과 이물감이 느껴진다
2.시야가 뿌옇게된다
3.눈이 뻑뻑해서 제대로 뜨기 힘들다
4.빛에 민감하여 불편하다.


안구건조증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면  이미 각막에 손상이 되어있을것입니다. 지속적으로 건조한 상태로 방치하면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생활습관을 개선을 해야 합니다. 눈의 이물질이나 간지럽다고 손으로 비비면 각막에 손상을 더 가하기 때문에 만지지 않는것이 중요합니다.



안구건조증 치료및 예방법


치료

안구건조증은 별다른 치료가 없고 완치가 어렵기 때문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여 생활 습관을 바꾸는것이 효과적입니다. 건조할때마다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기위해 인공눈물을 넣어 줍니다.


예방법


1.모니터 또는 스마트폰 사용 줄이기

화면에서는 청색 파장이 나와 눈에 치명적인 영향으로 사용을 줄입니다. 화면에 너무 집중하다보면 눈을 안감게 되니 자주 감아주는게 좋습니다.
정상 횟수는 1분에 15회 눈을 감았다 뜨는게 좋습니다.


2.눈에 좋은 음식 섭취

눈에 좋은 성분이 비타민 A인데요. 비타민 A는 당근에 많이 들어있어 섭취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비타민A부족시 야맹증을 유발합니다.


3.위생에 신경쓰기

눈은 빛이 통과하는 곳은 투명하게 유지할려고 하기때문에 외부에서의 물질이 침입하지 못하게 하여 감염에 강하지만, 또한 치료에 어려우니 위생이 중요합니다.


4.콘택트렌즈보다 안경

콘택트렌즈는 하드와 소프트가 있습니다. 하드렌즈는 착용감이 안좋기때문에 소프트렌즈를 많이 사용합니다.하지만 소프트렌즈가 눈보다 상대적으로 수분을 높게 유지할려고 하기때문에 장시간 착용시 더 건조하게 됩니다.

댓글